INDIES

[Learn You a Haskell For Great Good!] 4. 함수에서의 구문 본문

Haskell/LYAH

[Learn You a Haskell For Great Good!] 4. 함수에서의 구문

jwvg0425 2015. 1. 21. 13:54


Learn You a Haskell For Great Good!


이 게시글은 http://learnyouahaskell.com/chapters 사이트에 올라와있는 글을 한글로 번역한 것입니다.의역이 굉장히 많으니 주의...


4. 함수에서의 구문


패턴 매칭


이번 단원에서는 Haskell의 멋진 구문 구조중 일부에 대해 다룰 거야. 우선 패턴 매칭으로 시작해보자.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은 어떤 데이터가 따라야 할 패턴을 명시하는 것과, 패턴이 있다면 데이터가 그 패턴을 따라 분해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어.

 함수를 정의할 때, 서로 다른 패턴에 대해 함수의 본체를 각각 따로 정의할 수 있어. 이건 굉장히 깔끔하고 가독성 높은 코드를 만들어내지. 패턴 매칭은 숫자, 문자, 리스트, 튜플, 기타 등등의 모든 종류의 데이터 타입에 대해 사용할 수 있어. 우리가 인자로 넘길 숫자가 7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정말 별 거 아닌 함수를 한 번 만들어보자.



  1. lucky :: (Integral a) => a -> String  
  2. lucky 7 = "LUCKY NUMBER SEVEN!"  
  3. lucky x = "Sorry, you're out of luck, pal!"   

 lucky 함수를 호출하면, 패턴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체크되면서 패턴에 부합하는 게 있는 지 확인하고, 해당 패턴에 부합되는 함수의 본체가 실행이 돼. 여기서 첫번 째 패턴에 부합될 수 있는 숫자는 7밖에 없지. 만약 7이 아니라면, 이건 두 번째 패턴으로 넘어가고, 이 패턴은 어떤 숫자든 매칭이 되고 그걸 x와 묶지(binding). 이 함수는 if문을 가지고도 구현될 수 있어. 하지만 만약 어떤 숫자가 1부터 5까지면 해당 숫자를 말하고, 그렇지 않다면 "Not between 1 and 5"라고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고 싶다면 어떨까? 패턴 매칭이 없다면 if then else 트리로 이루이전 굉장히 난해한 코드를 만들어야 할거야. 하지만, 패턴매칭을 쓰면 이렇게 깔끔하게 해결되지.

  1. sayMe :: (Integral a) => a -> String  
  2. sayMe 1 = "One!"  
  3. sayMe 2 = "Two!"  
  4. sayMe 3 = "Three!"  
  5. sayMe 4 = "Four!"  
  6. sayMe 5 = "Five!"  
  7. sayMe x = "Not between 1 and 5"  

 만약 마지막 패턴(모든 것들이 매칭되는)을 맨 위로 옮긴다면, 이 함수는 항상 "Not between 1 and 5"라고 출력할 거라는 걸 명심해. 왜냐하면 이 경우에 첫번째 패턴이 모든 인자들을 다 매칭시켜버리니 두번째 이후 패턴을 검사할 기회 자체가 사라져버리거든. 

 이전에 구현했던 팩토리얼 함수 기억나? 우린 n!을 product [1..n]으로 정의했어. 팩토리얼 함수는 재귀적으로도 정의 가능해. 이 방법은 수학 쪽에서 정의할 때 자주 이용되지. 팩토리얼을 재귀적으로 정의할 때 0! = 1이라고 정의하는 걸로 시작한 다음, 어떤 양수의 팩토리얼은 그 정수와 그 정수보다 1작은 수의 팩토리얼의 곱으로 정의할 수 있어. 아래에 그걸 Haskell 용어로 번역하면 어떻게 되는 지 나와 있어.

  1. factorial :: (Integral a) => a -> a  
  2. factorial 0 = 1  
  3. factorial n = n * factorial (n - 1)  

 우린 지금 처음으로 함수를 재귀적으로 정의해봤어. Haskell에서 재귀는 중요하고, 우린 이걸 나중에 좀 더 자세히 살펴볼거야. 일단 우리가 3!를 구하려고 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간단하게 요약해보자. 먼저 이건 3 * factorial 2를 계산하려고 시도할거야. 그리고 2!은 2 * factorial 1이고, 이제 우리는 3 * (2 * factorial 1)을 계산하면 돼. factorial 1은 1 * factorial 0이야. 이제 3 * (2 * ( 1* factorial 0)) 을 계산하면 되겠군. 그리고 여기 트릭이 있어. 우린 factorial 0 을 1로 정의했어. 이 패턴이 factorial n보다 위에 있으니 factorial 0은 첫 번째 패턴을 먼저 방문하게 될테고, 그 결과로 1을 리턴하겠지. 그래서 최종적으로 결과는 3 * (2 * (1 * 1))과 똑같아. 만약 두 번째 패턴을 맨 위에 썼다면, 이건 항상 0을 포함한 모든 숫자들과 매칭이 되기 때문에 계산이 끝나지 않을거야. 그래서 패턴을 명시할 땐 순서가 중요해. 그래서 가장 명확한 것에 대한 패턴을 앞에 두고, 일반적인 것들에 대한 패턴을 나중에 두는게 항상 좋은 방법이야.

 패턴 매칭은 실패할 수도 있어. 이렇게 함수를 짰다고 가정해보자.

  1. charName :: Char -> String  
  2. charName 'a' = "Albert"  
  3. charName 'b' = "Broseph"  
  4. charName 'c' = "Cecil"  

 그리고 우리가 예측하지 못한 입력값으로 이 함수를 호출하려고 시도한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

  1. ghci> charName 'a'  
  2. "Albert"  
  3. ghci> charName 'b'  
  4. "Broseph"  
  5. ghci> charName 'h'  
  6. "*** Exception: tut.hs:(53,0)-(55,21): Non-exhaustive patterns in function charName  

 이건 우리가 철저하지 못한 패턴(non-exhaustive patterns)을 갖고 있다고 항의하는 거고, 정말로 그렇지. 패턴을 만들 땐 반드시 모든 종류의 패턴이 매칭될 수 있게 해서 프로그램이 예측하지 못한 입력 때문에 터지는 일이 없도록 만들어야 돼.

 패턴 매칭은 튜플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어. 만약 2D 공간에서 두 개의 백터(페어의 형태를 갖고 있는)를 취해서 그 둘을 더하는 함수를 만들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두 개의 벡터를 더하기 위해선 x 요소와 y 요소를 각각 더해야해. 여기 패턴 매칭을 모를 때 짤 수 있는 코드가 있어.

  1. addVectors :: (Num a) => (a, a) -> (a, a) -> (a, a)  
  2. addVectors a b = (fst a + fst b, snd a + snd b)  

 물론, 이 것도 잘 동작해. 하지만 더 좋은 방법이 있어. 이 함수를 패턴 매칭을 사용하도록 수정해보자.

  1. addVectors :: (Num a) => (a, a) -> (a, a) -> (a, a)  
  2. addVectors (x1, y1) (x2, y2) = (x1 + x2, y1 + y2)  

 짠! 더 나아졌어. 이건 이 자체로 모든 종류의 패턴과 매칭이 돼. addVectors는 두 케이스에서 모두 addVectors :: (Num a) => (a,a) -> (a,a) -> (a,a)이고, 따라서 항상 두 개의 페어를 인자로 받는게 보장이 되기 때문이지.

 fst와 snd는 페어의 요소를 추출해 내. 하지만 트리플에서는 어떻게 하지? 음, 트리플에 대해선 제공되는 함수가 없지만 우리 스스로 만들어 쓸 수 있지.

  1. first :: (a, b, c) -> a  
  2. first (x, _, _) = x  
  3.   
  4. second :: (a, b, c) -> b  
  5. second (_, y, _) = y  
  6.   
  7. third :: (a, b, c) -> c  
  8. third (_, _, z) = z  

 _ 기호는 조건 제시형 리스트에서 썼던 것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어. 해당 부분에 뭐가 오든 정말로 신경쓰지 않겠다고 의미하고 싶으면 그냥 _라고 쓰면 돼.

 이 거 때문에 기억이 났는데, 패턴 매칭을 조건 제시형 리스트에서도 쓸 수 있어. 이걸 봐봐.

  1. ghci> let xs = [(1,3), (4,3), (2,4), (5,3), (5,6), (3,1)]  
  2. ghci> [a+b | (a,b) <- xs]  
  3. [4,7,6,8,11,4]   

 패턴 매칭이 실패한다면, 이건 그냥 다음 원소로 넘어갈거야.

 리스트는 그 자체로 패턴 매칭에 사용될 수 있어. 텅 빈 리스트 [], 또는 : 연산자와 []를 포함한 어떤 패턴이든 사용할 수 있어. [1,2,3]이 1:2:3:[]의 간단한 표현이기 때문에, 좀 더 형식화된 패턴도 사용할 수 있지. x:xs 같은 패턴은 리스트의 head를 x로, 그리고 나머지를 xs로 취급해. 만약 해당 리스트에 원소가 하나밖에 없다면 xs는 텅 빈 리스트가 되겠지.


 주: x:xs 패턴은 주로 이용되고, 특히 재귀적인 함수에서는 더 그래. 하지만 : 연산자를 사용하는 패턴은 길이가 1이상인 리스트에 대해서만 매칭이 된다는 걸 명심해.


 처음 세 개의 원소를 변수로 지정하고 리스트의 나머지 부분을 별로의 변수로 지정하는 것도 x:y:z:zs 형태로 표기하면 가능해. 이건 길이가 3이상인 원소에 대해서만 대응되는 패턴이겠지.

 이제 리스트에 대해 패턴 매칭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head 함수를 직접 만들어볼거야.

  1. head' :: [a] -> a  
  2. head' [] = error "Can't call head on an empty list, dummy!"  
  3. head' (x:_) = x

 이게 잘 동작하는 지 확인해봐.

  1. ghci> head' [4,5,6]  
  2. 4  
  3. ghci> head' "Hello"  
  4. 'H'  

 멋져! 만약 여러 개의 변수를 지정하고 싶다면(심지어 그 중 하나가 그냥 _ 이고 실제로는 전부 변수로 지정되는게 아니라 할지라도), 우린 그것들을 소괄호로 둘러 싸줘야 돼. error 함수를 사용한 것도 눈여겨 봐. 이건 문자열을 인자로 받아서 런타임 에러를 방생시키고, 해당 문자열을 어떤 종류의 오류가 발생했는 지 알려주는 정보로 사용해. 이건 프로그램이 터지게 만들기 때문에 너무 많이 쓰는 건 좋은 방법이 아니야. 하지만 head 함수를 빈 리스트에 사용했을 때 프로그램이 터지는 거야 뭐 당연하지.

 이제 이제 리스트의 처음 원소들을 (불)편한 영어 형태로 보여주는 간단한 함수를 한 번 만들어보자.

  1. tell :: (Show a) => [a] -> String  
  2. tell [] = "The list is empty"  
  3. tell (x:[]) = "The list has one element: " ++ show x  
  4. tell (x:y:[]) = "The list has two elements: " ++ show x ++ " and " ++ show y  
  5. tell (x:y:_) = "This list is long. The first two elements are: " ++ show x ++ " and " ++ show y  

 이 함수는 텅 빈 리스트, 원소가 하나인 리스트, 두 개인 리스트, 그리고 두 개 이상의 리스트에 대해서 모두 확인하기 때문에 안전해. (x:[]) 와 (x:y:[])는 [x], [x,y]로도 쓸 수 있다는 것도 참고해(이건 간략한 표기법이기 때문에, 소괄호는 필요없어). (x:y:_)는 크기가 2이상인 모든 종류의 리스트에 대응되기 때문에 대괄호를 사용하는 표기법으로 바꿔쓸 수는 없어.

 우린 이미 조건 제시형 리스트를 이용해 length 함수를 구현해봤지. 여기선 간단한 재귀와 패턴 매칭을 이용해 length 함수를 만들어볼거야.

  1. length' :: (Num b) => [a] -> b  
  2. length' [] = 0  
  3. length' (_:xs) = 1 + length' xs  

 이 건 앞에서 쓴 팩토리얼 함수와 비슷해. 먼저 답이 알려진 입력(텅 빈 리스트)에 대한 결과를 정의해. 이건 경게 조건(edge condition)으로도 불려. 그러고 난 다음 두 번째 패턴에서 우리는 리스트를 머리와 꼬리로 분리하지. 이건 어떤 리스트의 length는 1과 그 리스트의 tail의 length를 더한 값과 같다는 걸 의미해. 리스트의 머리를 함수에서 사용하지 않으니까 이걸 _ 기호를 사용해 표시했어. 또 이 함수가 리스트에서 가능한 모든 종류의 패턴을 다루고 있다는 것도 참고해. 첫번째 패턴은 텅빈 리스트와 매칭되고 나머지 하나는 텅빈 리스트가 아닌 모든 패턴에 대해 매칭돼.

 이제 sum 함수를 구현해보자. 텅빈 리스트의 합이 0인 건 알고 있지. 이걸 아래쪽에 패턴으로 써놨어. 그리고 우린 어떤 리스트의 합(sum)은 그 머리의 값과 리스트의 나머지 부분의 합인 걸 알고 있지. 그것도 패턴으로 쓰면, 이런 결과가 나와.

  1. sum' :: (Num a) => [a] -> a  
  2. sum' [] = 0  
  3. sum' (x:xs) = x + sum' xs  

 또 패턴들(patterns)이라고 불리는 게 있어. 이건 전체에 대한 이름을 유지하면서 그걸 패턴에 따라 분리해서 여러 개의 변수로 쓰고 싶을 때 유용한 방법이야. 패턴의 앞에 이름과 @를 붙이는 걸로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서, 패턴 xs@(x:y:ys)가 있을 수 있지. 이 패턴은 정확히 x:y:ys와 같은 경우에 매칭되지만, 넌 함수 본체에서 리스트 전체에 대한 참조를 x:y:ys라고 반복적으로 치는 대신 xs라고 치는 걸로 간단히 얻을 수 있어. 여기 간단하고 더러운 예제가 있지.

  1. capital :: String -> String  
  2. capital "" = "Empty string, whoops!"  
  3. capital all@(x:xs) = "The first letter of " ++ all ++ " is " ++ [x]  


  1. ghci> capital "Dracula"  
  2. "The first letter of Dracula is D"  

 일반적으로 큰 패턴에 대해 매칭할 때 함수 본체에서 해당 개체 전체를 다시 쓸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그 패턴 전체를 다시 반복해서 쓰는 걸 피하고 싶을 때 패턴들(patterns)을 사용해.

 한 가지 더. 패턴 매칭에서 ++는 쓸 수 없어. 만약 (xs ++ ys)에 대응되는 패턴을 매칭하려고 한다면, 리스트의 어디서 어디까지가 xs고 ys인지 알 수 있겠어? 이건 말이 안되지. 이게 말이 되려면 (xs ++ [x,y,z])라고 쓰거나, 그냥 (xs ++[x])라고 써야겠지. 하지만 리스트의 특성때문에, 그렇게 할 수 없어.


가드, 가드!


 패턴이 값을 특정 형태에 맞는지 확인하고 그걸 분해하는 방법인 반면에, 가드는 값의 특정 성질(들)이 참인지 혹은 거짓인지 판단하는 방법이야. 이건 if문과 비슷해보이고 실제로도 그래. 가드는 여러 개의 조건을 쓸 때 훨씬 가독성이 좋고 또 패턴과 같이 쓸 때 굉장히 멋져.

 걔네들의 구문 구조를 설명하는 대신에, 우선 가드를 쓰는 함수를 한 번 만들어보자. 우린 네 BMI 지수(body mass index)에 따라 다르게 너를 질책하는 간단한 함수를 만들어볼거야. BMI 지수는 네 몸무게를 네 키의 제곱근으로 나눈것과 같아. 만약 네 BMI가 18.5보다 작다면, 넌 저체중이지. BMI 지수고 18.5에서 25사이라면 너는 정상인이야. 25에서 30은 과체중이고 30이상은 비만이야. 이에 따른 함수가 여기 있어(일단 BMI 계산은 지금 하지 않아, 이 함수는 단지 BMI 지수를 받아서 그 결과를 너한테 말해줄 뿐이야).

  1. bmiTell :: (RealFloat a) => a -> String  
  2. bmiTell bmi  
  3.     | bmi <= 18.5 = "You're underweight, you emo, you!"  
  4.     | bmi <= 25.0 =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5.     | bmi <= 30.0 = "You're fat! Lose some weight, fatty!"  
  6.     | otherwise   = "You're a whale, congratulations!"  

 가드는 함수 이름과 인자 다음에 다음에 파이프(|)를 이용해서 나타내. 보통 가드는 오른쪽으로 조금 인덴트(indent)를 준 다음 줄을 세워. 가드는 기본적으로 논리 표현식이야. 이게 True로 평가되면, 거기에 부합되는 함수의 본체가 사용되지. 만약 False라고 평가되면, 다음 가드로 이동해서 평가하고 그게 반복돼. 만약 우리가 이 함수를 24.3이라는 인자를 이용해 호출하면, 우선 이게 18.5이하인지 검사하고, 그게 False니까 다음 가드로 이동해서 평가하지. 두번째 가드에서의 검사는 25 이하인지가 조건이고 BMI가 24.3이니까, 두번째 가드의 문자열이 리턴되겠지.

 이건 명령형 언어에서의 엄청 큰 if else 트리를 연상시켜. 이건 그냥 좀 더 낫고 가독성이 있을 뿐이야. 커다란 if else 트리가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동안, 때때로 문제는 그거랑 상관없는 별개의 곳에서 발생하곤 하지. 가드는 이런 if else 트리의 좋은 대체품이야.

 대부분의 경우 맨 마지막 가드는 otherwise야. otherwise는 단순히 otherwise = True로 정의되어있고, 그래서 모든 경우를 잡아내. 이건 패턴이랑 정말 유사한데, 패턴 매칭이 주어진 입력이 패턴을 만족하는지 검사한다면 가드는 논리 조건식을 검사해. 만약 함수의 모든 가드가 False로 평가된다면(그리고 우리가 모든 경우를 잡아내주는 otherwise 가드를 만들 지 않았다면), 평가는 실패하고 다음 패턴으로 넘어가게 될거야. 이런 식으로 패턴과 가드는 서로 같이 잘 동작해. 만약 어떤 적합한 가드도 패턴도 없다면 에러가 발생해.

 당연히 가드는 여러 개의 인자를 가진 함수에서도 쓸 수 있어. 함수를 부르기 전에 사용자가 BMI를 계산해서 넘기게 하지 말고, 함수를 수정해서 함수가 키와 몸무게를 입력받아서 BMI까지 계산하게 해보자.

  1. bmiTell :: (RealFloat a) => a -> a -> String  
  2. bmiTell weight height  
  3.     | weight / height ^ 2 <= 18.5 = "You're underweight, you emo, you!"  
  4.     | weight / height ^ 2 <= 25.0 =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5.     | weight / height ^ 2 <= 30.0 = "You're fat! Lose some weight, fatty!"  
  6.     | otherwise                 = "You're a whale, congratulations!"  

 내가 뚱뚱한 건지 한 번 봐봐..

  1. ghci> bmiTell 85 1.90  
  2.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와! 난 안 뚱뚱해! 하지만 Haskell은 나보고 못생겼다고 했어. 뭐 어때!

 가드를 쓸 때 함수 이름과 인자 바로 옆에 =이 붙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 많은 초보자들이 거기에 =을 집어넣어서 구문 오류를 발생시키곤 하지.

 아주 간단한 또다른 예제가 있어. max 함수를 한 번 구현해보자. max함수는 비교될 수 있는 두 개의 인자를 받아서 그 중 더 큰 걸 돌려줘.

  1. max' :: (Ord a) => a -> a -> a  
  2. max' a b   
  3.     | a > b     = a  
  4.     | otherwise = b  

 가드는 한 줄에도 쓸 수 있어.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이게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정말 짧은 함수가 아니라면 별로 권하고 싶지 않아. 만약 한 줄로 쓴다면 max' 함수는 아래처럼 되긴 할 거야.

  1. max' :: (Ord a) => a -> a -> a  
  2. max' a b | a > b = a | otherwise = b  

 으윽! 정말 가독성이 떨어지는군.자, 다음으로 넘어가서, 이제 compare 함수를 가드를 이용해서 직접 구현해보자.

  1. myCompare :: (Ord a) => a -> a -> Ordering  
  2. `myCompare` b  
  3.     | a > b     = GT  
  4.     | a == b    = EQ  
  5.     | otherwise = LT  


  1. ghci> 3 `myCompare` 2  
  2. GT  

 주: 백틱(`) 기호를 이용해서 함수를 중위(infix)에서 호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backtick을 이용해서 얘네들을 중위(infix)에서 정의할 수도 있어. 때론 이게 더 가독성이 좋아.


Where!?


 이전 섹션에서, 우리는 BMI 계산 함수를 정의했고 그건 아래처럼 우리를 질책했지.

  1. bmiTell :: (RealFloat a) => a -> a -> String  
  2. bmiTell weight height  
  3.     | weight / height ^ 2 <= 18.5 = "You're underweight, you emo, you!"  
  4.     | weight / height ^ 2 <= 25.0 =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5.     | weight / height ^ 2 <= 30.0 = "You're fat! Lose some weight, fatty!"  
  6.     | otherwise                   = "You're a whale, congratulations!"  

 여기서 우린 똑같은 걸 세 번이나 반복했어. 프로그래밍에서 이런 걸 세번 씩이나 반복해서 쓰겠다는 발상은 머릿속에서 쫓아내야돼. 여기서 같은 표현식이 세 번이나 반복되니까, 한 번만 계산한 다음에 여기에 이름을 붙여서 표현식 대신에 사용하는 게 이상적일거야. 좋아, 우리는 함수를 이런식으로 수정할 수 있어.

  1. bmiTell :: (RealFloat a) => a -> a -> String  
  2. bmiTell weight height  
  3.     | bmi <= 18.5 = "You're underweight, you emo, you!"  
  4.     | bmi <= 25.0 =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5.     | bmi <= 30.0 = "You're fat! Lose some weight, fatty!"  
  6.     | otherwise   = "You're a whale, congratulations!"  
  7.     where bmi = weight / height ^ 2  

 키워드 where을 가드 뒤에 붙였어(보통 where은 pipe의 인덴트와 동일한 만큼 인덴트를 주는게 가장 좋아). where 절에서 여러 개의 이름이나 함수를 정의할 수 있어. 이 이름들은 가드 전체에서 쓸 수 있고 똑같은 걸 반복하도 되지 않게 해주지. 만약 BMI를 조금 다른 방식으로 계산하고 싶다면, 그냥 where 뒤에 있는 공식을 한 번만 바꿔주면 돼. 또 이건 특정한 개체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가독성을 높이고, bmi 같은 변수가 단 한 번만 계산되게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속도도 빠르게 만들어줘. 조금 더 나아가서 우리 함수를 이런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

  1. bmiTell :: (RealFloat a) => a -> a -> String  
  2. bmiTell weight height  
  3.     | bmi <= skinny = "You're underweight, you emo, you!"  
  4.     | bmi <= normal = "You're supposedly normal. Pffft, I bet you're ugly!"  
  5.     | bmi <= fat    = "You're fat! Lose some weight, fatty!"  
  6.     | otherwise     = "You're a whale, congratulations!"  
  7.     where bmi = weight / height ^ 2  
  8.           skinny = 18.5  
  9.           normal = 25.0  
  10.           fat = 30.0  

 어떤 함수의 where 절에서 정의된 이름들은 그 함수 내에서만 나타날 수 있어. 따라서 이게 다른 함수들의 이름 공간(namespace)을 어지럽히진 않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돼. 모든 이름들이 같은 줄에 맞춰서 정렬되어 있다는 걸 명심해. 이걸 적절하게 같은 줄에 맞추지 않으면, Haskell은 어디서 어디까지가 같은 블록의 일부인지를 알 수 없어서 혼란스러워하게 돼.

 where 절은 함수의 서로 다른 패턴에까지 공유되지는 않아. 만약 한 함수의 여러 개의 패턴에서 공유되는 이름을 만들고 싶다면, 이건 전역적인 공간에서 정의해야만 해.

 where 절에서도 패턴 매칭을 이용할 수 있어! 우린 위의 함수의 where절은 아래처럼 쓸 수 있지.

  1. ...  
  2. where bmi = weight / height ^ 2  
  3.       (skinny, normal, fat) = (18.525.030.0)  

 사람의 성과 이름을 받아서 그 이니셜을 돌려주는 정말 간단한 함수를 한 번 만들어보자.

  1. initials :: String -> String -> String  
  2. initials firstname lastname = [f] ++ ". " ++ [l] ++ "."  
  3.     where (f:_) = firstname  
  4.           (l:_) = lastname    

 우린 이 패턴 매칭을 함수의 인자에서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이게 더 짧고 직관적이야). 하지만 이건 그냥 where에서도 패턴 매칭이 잘 동작한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예제일 뿐이야.

 where 절에서 상수를 정의한 것처럼, 함수도 정의할 수 있어. 우리의 건강한 프로그래밍 테마에 맞춰서, 몸무게와 키쌍(pair)의 리스트를 받아서 BMI의 리스트를 돌려주는 함수를 만들어보자.

  1. calcBmis :: (RealFloat a) => [(a, a)] -> [a]  
  2. calcBmis xs = [bmi w h | (w, h) <- xs]  
  3.     where bmi weight height = weight / height ^ 2  

  이게 다야! 이 예제에서 bmi를 함수로 소개한 이유는, 우리가 함수의 인자로부터 하나의 BMI를 계산해낼 수는 없기 때문이야. 우린 함수에서 넘어온 인자를 조사해서 모든 페어에 대해 서로 다른 BMI들을 각각 계산해야만 하지.

 where 절도 중첩해서 사용할 수 있어. 함수를 만들 땐 관용적으로 도우미 함수(helper function)를 그 함수의 where 절에 만들고, 이 도우미 함수가 잘 동작하기 위한 도우미 함수를 다시 그 함수의 where 절에 정의할 수 있지.


Let it be


 where 절은 let 절과 굉장히 비슷해. where 절은 함수의 맨 마지막에서 변수를 묶을 수 있고(bind) 그걸 모든 가드를 포함한 전체 함수 정의에서 쓸 수 있는 구문론적 구조야. let 절은 어디서든 표현식과 변수를 묶을 수 있게 해주지만, 굉장히 지역적이고 따라서 가드 전체에서 쓰거나 하지는 못 해. Haskell에 있는 값을 그 이름과 묶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구조들과 마찬가지로, let 바인딩은 패턴 매칭을 위해 사용될 수 있어. let 절이 어떻게 동작하는 지 살펴보자! 아래는 원기둥의 겉넓이를 그 높이와 반지름을 이용해서 구하는 함수를 정의한 거야.

  1. cylinder :: (RealFloat a) => a -> a -> a  
  2. cylinder r h = 
  3.     let sideArea = 2 * pi * r * h  
  4.         topArea = pi * r ^2  
  5.     in  sideArea + 2 * topArea  

 기본적인 형태는 let <bindings> in <expression> 이야. let 부분에서 정의한 이름은 in 이후 부분에서 나오는 표현식에서 사용가능해. 보이다시피, 이건 where 절을 이용해서도 구현할 수 있어. 이름들이 같은 줄에 맞춰서 정렬되어 있다는 것도 참고해. 그래서, where절과 let 절 둘의 차이가 뭘까? 지금은 그냥 let절은 값과 변수를 묶는 작업을 먼저 하고 그걸 쓰는 표현식이 나중에 나오는 반면 where절은 그거랑 순서가 반대인 걸로만 보이지.

 둘의 차이점은, let 절은 그 자체로 표현식이라는 거야. where절은 단지 구문론적인 구조일 뿐이고. if 구문을 설명할 때 if 구문은 표현식이기 때문에 이걸 거의 어디서든 쓸 수 있다고 했던 거 기억나?


  1. ghci> [if 5 > 3 then "Woo" else "Boo"if 'a' > 'b' then "Foo" else "Bar"]  
  2. ["Woo""Bar"]  
  3. ghci> 4 * (if 10 > 5 then 10 else 0) + 2  
  4. 42  

 let 절에서도 이거랑 거의 똑같은 게 가능해.

  1. ghci> 4 * (let a = 9 in a + 1) + 2  
  2. 42  

 이건 지역적인 범위에서 쓰이는 함수를 만들 때에도 사용돼.

  1. ghci> [let square x = x * in (square 5, square 3, square 2)]  
  2. [(25,9,4)]  

 만약 한 줄에 여러 개의 변수를 묶고 싶다면, 당연히 줄을 맞추지 않아도 돼. 대신에 세미콜론(;)으로 구분하지.

  1. ghci> (let a = 100; b = 200; c = 300 in a*b*c, let foo="Hey "; bar = "there!" in foo ++ bar)  
  2. (6000000,"Hey there!")  

 마지막 바인딩 뒤에는 세미콜론을 붙일 필요가 없지만, 붙이고 싶다면 붙여도 상관은 없어. 앞에서 말했던 것 처럼 let 바인딩과 함께 패턴 매칭을 사용할 수 있어. 이건 튜플을 그 원소들로 빠르게 분해해서 분해해서 이름을 붙이는 것 같은 작업에 굉장히 유용해.

  1. ghci> (let (a,b,c) = (1,2,3in a+b+c) * 100  
  2. 600  

 let 절은 조건 제시형 리스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몸무게와 높이 페어의 리스트를 받아서 bmi를 계산하는 이전 예제를 where 절에서 보조 함수를 정의해서 쓰는 대신 조건 제시형 리스트 안에서 let 절을 이용하도록 고쳐보자.

  1. calcBmis :: (RealFloat a) => [(a, a)] -> [a]  
  2. calcBmis xs = [bmi | (w, h) <- xs, let bmi = w / h ^ 2]  

 let 절을 조건 제시형 리스트에 술어를 쓰듯이 포함시킬 수 있어. 다만 이건 리스트를 필터링하진 않아. 이건 단지 이름과 값을 묶는 역할을 하지. 조건 제시형 리스트 내부의 let 절에서 정의된 이름들은 출력함수(파이프| 전의 부분)와 해당 바인딩(let 절) 이후에 오는 섹션들, 술어들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따라서 이 함수가 뚱뚱한 사람들의 BMI만 리턴하도록 만들 수도 있어.

  1. calcBmis :: (RealFloat a) => [(a, a)] -> [a]  
  2. calcBmis xs = [bmi | (w, h) <- xs, let bmi = w / h ^ 2, bmi >= 25.0]  

 bmi 라는 이름을 (w,h) <- xs 부분에서는 쓸 수 없어. 왜냐하면 얘네들은 let 절보다 앞에서 정의됐거든.

 let절을 조건 제시형 리스트에서 쓸 때는 해당 이름이 사용되는 범위가 이미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리스트 내부로) in 부분을 빼먹어도 상관없어. 하지만, 술어에서 let in 절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렇게 하면 let 절에서 정의된 이름들은 해당 술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 in 파트는 GHCi에서 함수나 상수를 직접 정의할 때도 빼먹을 수 있어. 그렇게 하면, 이 이름들은 전체 상호작용 세션 내내 사용가능하게 되지.

  1. ghci> let zoot x y z = x * y + z  
  2. ghci> zoot 3 9 2  
  3. 29  
  4. ghci> let boot x y z = x * y + in boot 3 4 2  
  5. 14  
  6. ghci> boot  
  7. <interactive>:1:0Not in scope: `boot'  

 let절이 정말 멋지다면 왜 where 절을 쓰는 걸까? 전부 let절을 쓰면 될텐데. 라고 물었어? 음, let 절은 표현식이고 굉장히 지역적이기 때문에, 모든 가드 내에서 통용해서 쓸 수 없어. 몇몇 사람들은 where 절이 이름을 쓰는 부분이 그걸 정의하는 부분보다 함수에서 앞에 있기 때문에 where 절을 더 선호해. where절을 쓰면, 함수의 본체가 함수의 이름과 타입 선언에 더 가까워지고 그게 어떻게 보면 더 가독성이 있거든.


케이스 표현식(case expressions)


 많은 명령형 언어(C, C++, Java, 기타 등등)는 case 구문을 갖고 있고, 네가 한 번도 그걸로 프로그래밍해본 적이 없다해도 그게 뭔지는 대충 알 거야. case 구문은 어떤 변수를 취해서, 아마 케이스에 포함되지 않는 모든 값들에 대해 수행하는 코드 블록도 포함하면서, 해당 변수의 특정한 값에 대해 수행하는 코드 블록들을 만들어 놓은 것이지.

 Haskell은 이 개념을 받아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켰어. 그 이름이 암시하는 것처럼, 케이스 표현식은 if else 표현식이나 let 절과 마찬가지로 표현식이야. 값의 가능한 경우에 기반해서 평가하는 표현식일 뿐만 아니라, 패턴 매칭도 할 수 있어. 흠, 변수를 취해서, 패턴 매칭을 하고, 그 값에 따라서 코드 조각을 평가하고. 어디서 들어본 것 같지 않아?  그래, 함수 정의에서 인자에 따라 패턴 매칭을 하는 거랑 똑같아! 음, 이건 사실 실제로는 케이스 표현식의 간략화된 표현일 뿐이야. 이 두 조각의 코드는 완전히 똑같고 서로 바꿔쓸 수 있어.

  1. head' :: [a] -> a  
  2. head' [] = error "No head for empty lists!"  
  3. head' (x:_) = x  


  1. head' :: [a] -> a  
  2. head' xs = case xs of [] -> error "No head for empty lists!"  
  3.                       (x:_) -> x  

 보다시피, 케이스 표현식의 구문은 굉장히 단순해.

  1. case expression of pattern -> result  
  2.                    pattern -> result  
  3.                    pattern -> result  
  4.                    ...  

expression은 패턴에 대응해서 매칭돼. 패턴 매칭은 예측한 것 그대로 동작해. 첫번째 패턴이 표현식과 매칭되는지 확인하고, 그게 실패하면 두 번째, 세번째... 하나도 맞는 패턴이 없다면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겠지.

 함수 인자에서의 패턴 매칭이 함수를 정의하는 것에만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케이스 표현식은 정말 거의 어디에서든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보자.

  1. describeList :: [a] -> String  
  2. describeList xs = "The list is " ++ case xs of [] -> "empty."  
  3.                                                [x] -> "a singleton list."   
  4.                                                xs -> "a longer list."  

 이건 표현식의 중간쯤에서 어떤 것에 대해 패턴 매칭을 하고 싶을 때 유용해. 함수 정의에서의 패턴 매칭이 케이스 표현식의 간략화된 표힌이기 때문에, 우린 이걸 아래처럼도 정의할 수 있어.

  1. describeList :: [a] -> String  
  2. describeList xs = "The list is " ++ what xs  
  3.     where what [] = "empty."  
  4.           what [x] = "a singleton list."  
  5.           what xs = "a longer list."